대상자 | 예상인원 |
---|---|
인식도 조사 참여 재학생 | 500명 |
또래 상담사 | 10명 |
자가진단 브로셔 제공 | 2만4천건 |
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 | 180건 |
학생 맞춤형 상담프로그램 개발 운영
세부 사업명
학생 맞춤형 상담프로그램 개발 운영
SU-MVP+ 주요핵심역량
소통, 자기주도
사업목적
재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고 원활한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하여 학생상담에 대한 요구도와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여 생활주기별 정서적 특성을 파악하고, 그 결과에 근거하여 학생 맞춤형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한다. 아울러 학생들 자체로 본인의 정신건강을 간단히 체크할 수 있는 자가진단 브로셔와 온라인 심리검사 플랫폼을 구축하고, 필요시 상담센터와 연결할 수 있도록 적극 유도한다.
사업 참여 대상
기대효과
As-Is | To-Be |
---|---|
|
|
주요 사업개요(총괄)
- ① 학생상담 요구도 및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이 생활주기별로 느끼는 부정 정서 특성을 파악하여 맞춤형 상담 프로그램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한다.
- ② 정서적 위기상황에 처한 친구들을 조기 발견하고 지원을 제공하며 상담센터와 연결해 줄 수 있는 또래상담사를 양성한다.
- ③ 학생 생활주기별 자가진단 정보를 제공하고, 온라인 심리검사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수시로 자기 상황을 체크하고, 필요시 상담센터를이용할 수 있도록 적극 유도한다.
- ④ 학생상담 워크북을 제작하고,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자아성장과 학교생활적응을 돕는다.
2차년도 주요 추진일정
- 학생상담 요구도 및 인식도 조사
- 또래상담사 양성
- 정신건강 자가진단 브로셔 제작 및 온라인 심리검사 개발 및 운영
- 집단상담 워크북 제작 및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
ACE+ 사업 성과지표 연계
성과지표
지표명 | 시작기준 | 2차년도 목표 | 성과지표 산출근거 | 최종 목표치 |
---|---|---|---|---|
또래상담사 | 10명 | |||
집단상담 참여자 | 180건 | |||
온라인 심리검사 | 4종 |
ACE+사업계획서 연계성